쉽게 배우는 윈도우 한글 언어팩 설치 방법!
목차
- 윈도우 한글 언어팩이란?
- 윈도우 한글 언어팩 설치 방법
- Windows 11 사용자
- Windows 10 사용자
- 한글 키보드 사용 설정
- 마지막으로
윈도우 한글 언어팩이란?
윈도우 운영체제를 처음 설치할 때 기본 언어를 선택하게 되는데요, 만약 영문이나 다른 언어로 설치했다면 한국어 메뉴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한글 언어팩을 설치해야 합니다.
한글 언어팩은 윈도우 시스템 메뉴, 설정, 프로그램 등의 모든 영역을 한글로 표시되도록 해주는 언어 패키지입니다. 또한 한글 키보드 입력을 지원하여 한글 입력이 가능해집니다.
윈도우 한글 언어팩 설치 방법
윈도우 버전에 따라 설치 방법이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여러분이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 버전에 맞게 설치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Windows 11 사용자
- 작업 표시줄의 검색창을 열고 "설정"을 입력하여 설정 앱을 실행합니다.
- "시간 및 언어" > "언어 및 지역" 메뉴를 선택합니다.
- "언어" 목록에서 "언어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 "한국어(대한민국)"을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 "언어 기능 설치" 에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합니다. (옵션: 음성 인식, 필기 인식 등)
- "설치"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Windows 10 사용자
- 작업 표시줄의 검색창을 열고 "제어판"을 입력하여 제어판 앱을 실행합니다.
- "시간, 언어 및 지역" > "지역" 카테고리를 선택합니다.
- "관리" 탭을 클릭한 후 "언어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 "한국어(대한민국)"을 선택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 추가된 "한국어" 언어 패키지 위에서 "옵션" 버튼을 클릭합니다.
- "언어 팩 다운로드 및 설치" 를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윈도우 시스템을 다시 시작하면 한글 언어팩이 적용됩니다.
한글 키보드 사용 설정
윈도우 한글 언어팩을 설치했지만 여전히 한글 입력이 되지 않는다면 한글 키보드 사용을 설정해야 합니다.
- Windows 11 사용자
- 작업 표시줄의 언어 입력 메뉴 (EN, FR, KR 등의 표시)를 클릭합니다.
- "입력 방법 설정"을 선택합니다.
- "선택할 수 있는 키보드" 목록에서 "한국어 (Microsoft IME)"를 추가합니다.
- Windows 10 사용자
- 작업 표시줄의 언어 입력 메뉴 (EN, FR, KR 등의 표시)를 클릭합니다.
- "언어 환경 설정"을 선택합니다.
- "키보드" 탭에서 "한국어 (Microsoft IME)"를 선택합니다.
마지막으로
윈도우 한글 언어팩 설치 방법은 간단하지만 몇 가지의 클릭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글을 참고하여 簡単に (かんたんに - kan tani ni: 쉽게) 윈도우를 한글 환경으로 만들어보세요!
댓글
댓글 쓰기